노부나가의 야망 천상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부나가의 야망 천상기'는 1560년 오다 노부나가가 이마가와 요시모토를 상대로 승리한 오케하자마 전투와 1582년 오다 노부나가가 가신 아케치 미쓰히데에게 배신당해 사망한 혼노지의 변을 배경으로 한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내정, 전쟁, 외교, 계략 등의 게임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군단제, 교육 시스템, 행동력 시스템 등 전작과 차별화된 시스템을 도입했다.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었으며, 파워업 키트를 통해 새로운 시나리오와 기능을 추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부나가의 야망 - 포켓몬 + 노부나가의 야망
포켓몬 + 노부나가의 야망은 닌텐도 DS용 턴제 전략 RPG로, 이브이와 함께 란세 지방을 여행하며 포켓몬과 친구가 되어 무장들과 싸워 지방을 통일하는 게임이다. - 노부나가의 야망 -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
노부나가의 야망 시리즈는 코에이 테크모 게임스에서 개발한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16세기 일본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다이묘가 되어 천하통일을 목표로 하며, 홀수 작품마다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고 짝수 작품에서 이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노부나가의 야망 천상기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노부나가의 야망 천상기 |
원제목 | 信長の野望・天翔記 |
장르 |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 |
개발사 | 코에이 |
발행사 | 코에이 |
플레이 인원 | 1-8명 |
미디어 | CD-ROM[Win・SS・PS] |
플랫폼 | PC-98_i386 이후 |
출시일 | 1994년 12월[PC-98] |
2. 역사적 배경
게임의 배경은 16세기 일본의 센고쿠 시대로, 각지의 다이묘들이 패권을 다투던 혼란기였다. 이 시기는 오다 노부나가를 비롯한 여러 유력 다이묘들이 등장하여 각축을 벌인 시기로, 게임 내에서도 이러한 역사적 배경이 반영되어 있다.[1] 게임은 1년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분기로 나누어 3개월마다 턴이 진행되는 방식을 채택하여, 전작들과는 다른 시간 흐름을 보여준다.
2. 1. 주요 다이묘 가문
본작에는 오다씨, 다케다씨, 우에스기씨, 모리씨, 시마즈씨 등 실존했던 다양한 다이묘 가문이 등장한다.- '''오다씨''': 오다 노부나가를 중심으로, 혁신적인 전략과 전술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다. 아즈치성을 거성으로 할 경우 전용 BGM이 있다.
- '''다케다씨''': 다케다 신겐의 강력한 기마 군단을 바탕으로, 군사적 우위를 점했다.
- '''우에스기씨''': 우에스기 겐신의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의리를 중시하는 통치 방식으로 유명하다.
- '''모리씨''': 모리 모토나리의 지략과 모리 수군의 활약을 통해, 주고쿠 지방의 패권을 장악했다.
- '''시마즈씨''': 시마즈 요시히로의 용맹함과 뛰어난 철포 운용 능력을 바탕으로, 규슈 지방에서 세력을 떨쳤다.
2. 2. 주요 사건
역사 이벤트는 전작보다 충실해졌으며, PlayStation 등 일부 가정용 게임기 이식판에서는 배우가 연기하는 실사 무비로 삽입되는 연출도 있었다. 오케하자마 전투, 혼노지의 변, 하시바 히데요시와 관련된 '주머니 속의 짚신(懐中の草履)' 이벤트도 수록되어 있다.[1]3. 게임 시스템
센고쿠 다이묘를 선택하여 전국 통일을 목표로 하는 게임이다. 전작 《패왕전》과 달리 본성과 지성의 개념은 없지만, 성의 수는 214개로 크게 늘었다(슈퍼 패미컴판은 120개). 1년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로 나누어 3개월마다 턴이 진행된다.
전작의 종속 동맹, 우위 동맹 시스템은 사라지고, 다른 다이묘 가문을 종속시키면 바로 자신의 부하가 된다. 무력으로 전국의 모든 성을 지배해야만 통일이 가능하다. 《무장풍운록》 이전처럼 회귀한 것이다.
특정 다이묘를 공통의 적으로 삼는 "공적" 개념이 새로 등장했다. 상대방 사자를 맡은 무장을 빼오거나, 반대로 빼앗길 수도 있다. 대등 동맹만 가능하며, 『무장풍운록』의 "협박"이 부활하여 약한 다이묘를 굴복시켜 가신으로 삼을 수 있다. 그러나 다이묘에 따라 협박에 응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른 다이묘에게 공동 출진을 요청하는 "공동"은 채택되지 않았다.
동맹을 파기하면 가신 충성도가 하락하므로, 협박 등으로 우호도를 낮춘 후 파기하는 것이 좋다. 본작의 동맹은 무기한이기에 매우 안정적이며, 초반 동맹 성립 여부가 게임 난이도를 크게 좌우한다.
- '''계략''': 다른 가문의 무장을 빼돌리거나, 암살을 시도할 수 있다.
- '''군단제''': 여러 성을 묶어 군단을 편성하고, 군단장에게 위임하여 통치할 수 있다. 군단장은 자신의 능력치와 야망에 따라 행동하며, 야망이 높은 군단장은 독립할 가능성이 있다.[13]
- '''교육 시스템''': 교육을 통해 무장의 능력치를 성장시키고 특수 능력을 습득하게 할 수 있다.[2]
- '''AI 학습''': 배하 무장은 플레이어의 전략을 학습하여, 위임 시 더욱 적절한 행동을 한다.
3. 1. 내정
플레이어는 자신의 영지를 발전시키고 백성들의 삶을 개선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정 활동을 할 수 있다.- 개간: 농지를 개간하여 수확량을 늘린다.
- 치수: 강을 정비하여 홍수 피해를 예방한다.
- 상업: 상업을 발전시켜 수입을 늘린다.
- 시혜: 백성들에게 식량을 베풀어 민심을 안정시킨다.
3. 2. 전쟁
전쟁은 야전과 공성전으로 나뉜다.병과 | 설명 |
---|---|
아시가루(足軽) | 일제 공격을 할 수 있지만, 이동 후에는 불가능하다. 공성전에서는 성벽과 해자에 침입할 수 있다.[3] |
기마(騎馬) | 이동 후 돌격이 가능하다. 야전에서는 기동력이 뛰어나지만, 공성전에서는 떨어진다. |
철포(鉄砲) | 간접 공격이 가능하다. 철포 적성에 따라 공격력과 사거리가 달라진다. 혼마루(本丸)나 야구라(櫓)에 배치하면 사거리가 늘어나고 날씨 영향을 받지 않지만, 이동 후에는 공격할 수 없다. 공성전에서 성벽과 해자에 침입할 수 있지만, 성공률은 아시가루보다 낮다.[4] 눈이나 비가 오거나, 공성전에서 해자에 있으면 포격을 할 수 없다. |
수군(水軍) | 해전에 강하다. 수군 능력이 높으면 적 부대를 한 번에 소멸시킬 수 있다. |
각 무장은 다음과 같은 특수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기능 | 설명 |
---|---|
도발 | 적을 혼란시켜 조작 불능 상태로 만든다. 멀리 있어도 가능하며, 지모가 높으면 범위가 넓어진다. 혼마루의 적을 도발해 이동시킨 후 점령하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5] |
화공(火攻) | 평시에는 다른 세력 성의 방어도를 낮출 수 있다. |
변설 | 전쟁 시 아군 사기를 올릴 수 있다. 평시에는 물자 매매, 조략, 외교에 유리하다. |
유언 | 인접한 적을 혼란시키고 조작 불능 상태로 만들며, 공격력과 방어력을 낮춘다. 드물게 대혼란을 일으켜 아군과 적군 모두 공격하게 할 수도 있다. 평시에는 다른 세력 가신의 충성도를 낮출 수 있다. |
선동 | 전쟁 시 1부대에 1회 사용할 수 있다. 평시에는 다른 세력 성의 민충(民忠)을 낮출 수 있다. |
유출 | 전쟁 시 아시가루 부대는 임시 징병이 가능하다. 평시에는 다른 세력 백성을 자신의 세력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 |
암살 | 전쟁 시와 평시 모두 가능하다. 전쟁에서 성공하면 해당 전투에서 다시 사용할 수 없지만, 농성하면 추가로 1부대 암살이 가능하다. |
일갈 | 인접한 적과 아군을 뒤로 밀어낸다. 성곽을 넘게 할 수도 있다.[6] 평시 훈련 효과를 높인다. 조략 시 상대와의 상성에 따라 보정이 적용된다.[7] |
기철 | 숨겨진 기능으로, 기마 철포 부대를 만들 수 있다. 다테 마사무네 등이 소유하고 있다.[8] |
공성전은 성을 공격하거나 방어하는 전투이며, 혼마루(本丸)를 점령하면 승리한다.
3. 3. 외교
다른 다이묘 가문과 동맹을 맺거나 혼인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동맹을 맺은 가문은 서로를 공격할 수 없으며, 공동 작전을 펼칠 수 있다. 혼인을 통해 다른 가문과의 관계를 개선하고 후계자를 얻을 수 있다. 세력이 약한 다이묘를 협박하여 가신으로 삼을 수도 있는데, 이는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방법으로 간주된다.[2]센고쿠 다이묘를 선택하여 모든 성을 함락시켜 전국통일을 목표로 하는 게임이다. 전작 《패왕전》과 달리 본성과 지성의 개념은 없지만, 성의 수는 214개로 비약적으로 늘어났다(슈퍼 패미컴판은 120개). 전작까지는 달마다 턴이 돌아왔지만, 본작에서는 1년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분기로 나누고, 3개월마다 턴이 진행되게 되었다. 전작에 있던 종속 동맹과 우위 동맹의 시스템은 사라지고, 본작에서는 다른 다이묘 가문을 종속시킨 시점부터 자신의 배하가 된다. 본작에서는 무력 통일, 즉 전국의 모든 성을 지배하에 두는 것만이 통일의 수단이다. 《패왕전》 및 《장성록》 이후 가능했던 동맹 통일, 즉 세이이타이쇼군이 되어 다른 다이묘 모두와 동맹을 맺는(작품에 따라서는 다른 다이묘 모두를 종속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무장풍운록》 이전 시리즈로 회귀한 것이다.[2]
특정 다이묘를 공통의 적으로 삼는 "'''공적'''"이 새롭게 등장했다. 또한, 상대 측 사자를 맡은 무장을 빼올 수도 있고, 반대로 플레이어 다이묘 측 사자를 빼앗길 수도 있다. 전작 『패왕전』에 있었던 우위 동맹·종속 동맹은 폐지되었고 대등 동맹만 남았지만, 『무장풍운록』에 있었던 "'''협박'''"이 부활하여 세력이 크게 열세인 다이묘를 굴복시켜 가신으로 삼을 수 있다. 단, 다이묘에 따라서는 절대로 협박에 응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다른 다이묘에게 공동 출진을 요청하는 "공동"은 시스템상 채용되지 않았다. 본작에서는 상대 다이묘와의 우호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동맹을 파기하면 가신의 충성도가 하락하는 불이익이 있다. 따라서 동맹 파기 시에는 사전에 협박 등으로 우호도를 낮춰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작의 동맹은 무기한이므로 역대 시리즈 중에서도 특히 안정적이며, 초반 동맹 성립 여부가 플레이 난이도를 크게 바꿀 정도이다. 동맹 세력은 "전쟁"에서 상기에 기재된 조건이 갖춰진 경우를 제외하고 절대로 동맹 상대를 공격할 수 없다. CPU는 공격할 수 있는 세력이 없거나 "협박" 등으로 우호도가 0이 되지 않는 한, 우선 CPU 다이묘가 동맹을 파기하는 일은 없다.[2]
3. 4. 계략
다른 가문의 무장을 빼돌리거나, 암살을 시도할 수 있다.- '''내응''' : 다른 가문의 무장에게 내응을 유도하여 배신하게 한다. 혼간지 가문에 속한 무장은 내응에 잘 넘어오지 않지만,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같이 의리가 낮은 무장은 충성도가 90 미만이면 내응이 가능하다.[2]
- '''암살''' : 다른 가문의 무장을 암살하여 세력을 약화시킨다.
3. 5. 군단제
여러 성을 묶어 군단을 편성하고, 군단장에게 위임하여 통치할 수 있다. 군단장은 자신의 능력치와 야망에 따라 행동하며, 야망이 높은 군단장은 독립할 가능성이 있다.[13] 전작까지는 한 국가를 위임할 수 있었지만, 본작에서는 성 단위의 위임은 불가능해졌다. 그 대신 전국을 통일하기 위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이 군단에 의한 지배이다. 군단을 편성하지 않으면 전국 통일은 어렵고, 군단장 인선이 핵심이다. 아무리 유능하더라도, 마쓰나가 히사히데나 다케다 신겐처럼 야망이 높고 불의에 가깝게 설정된 무장은 모반을 일으키기 쉽다. 그러나 "야망"이 낮으면 행동력이 회복되지 않아 운영에 지장을 초래한다. 세력이 확대되어 성을 많이 지배하는 단계에서는 군단 편성이 필수적이며, 예하 군단에 대한 지시가 영국의 상황을 크게 좌우한다.[13]또한, 수정된 개념으로 "행동력"이 있다. 행동력은 각 군단의 군단장(다이묘가 당주 포함)에게 매 턴 주어지며, 그 범위 내에서 내정, 군사, 전쟁 등의 명령을 실행한다. 『무장풍운록』 이전과의 차이점은 매 턴 행동력의 회복 방법이다. 이전 작품에서는 다이묘의 "정치력"에 따라 결정되었지만, 본작에서는 다이묘(혹은 군단장)의 매 턴 회복하는 행동력의 산출 방법이 (정치+전투+지모)÷6+(야망÷2)로, 특히 '야망'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졌다. 그 때문에 야망치가 높은 무장은 매 턴 주어지는 행동력이 많아 군단장에 적합하지만, 독립할 확률이 높아진다. 행동 포인트 부족은 초반에는 세력 규모가 작기 때문에 불편함이 없지만, 세력을 확대한 중반 이후에는 작업량도 늘어나 행동력 부족이 현저해지기 때문에 새롭게 편성한 군단에 위임하게 된다.[13]
3. 6. 교육 시스템
본작의 교육 시스템을 통해 무장의 능력치를 성장시키고, 특수 능력을 습득하게 할 수 있다.[2]- 능력치:
종류 | 설명 |
---|---|
정재(政才) | 정치력의 상한치로, 내정과 외교에 영향을 준다. 최대치는 200이다. |
전재(戦才) | 전투력의 상한치로, 전쟁에 영향을 준다. 최대치는 200이다. |
지재(智才) | 지모의 상한치로, 계략과 전쟁에 영향을 준다. 최대치는 200이다. |
매력 | 교섭 시에 영향을 주며, 평생 상승하지 않는다. 최대치는 100이다. |
야망 | 교육 등 능력 성장이나 군단장 임명 시 행동력 증가에 영향을 준다. 평생 상승하지 않으며, 야망이 높으면 군단장으로 적합하지만 독립할 확률이 높아진다. 최대치는 100이다. |
상성 | 무장 간의 궁합을 나타낸다. |
수명 | 무장의 남은 수명을 나타낸다. |
용맹 | 전쟁 시 용맹함에 영향을 준다. |
의리 | 의리 수치를 나타내며, 낮을 경우 내응이나 독립 가능성이 높아진다. 최대치는 15이다. |
독립 | 독립 성향을 나타낸다. |
정득(政得), 전득(戦得), 지득(智得) | 각각 정치, 전투, 지모의 습득도를 나타내며, A부터 C까지로 설정되어 있다. |
- 특기:
종류 | 설명 |
---|---|
도발 | 전쟁 시 적을 도발하여 혼란시키고 조작 불능 상태로 만든다. 평시에는 전투 유발(合戦誘発)을 사용할 수 있다.[5] |
화공(焼討) | 전쟁 시 화공을 사용하고, 평시에는 다른 세력 성의 방어도를 낮춘다. |
변설(弁舌) | 전쟁 시 고무(鼓舞)를 통해 주변 부대 사기를 올리고, 평시에는 물자 매매, 조략, 외교에 유리하다. |
유언(流言) | 전쟁 시 인접한 적을 혼란시키고 조작 불능 상태로 만든다. 평시에는 유언비어(流言飛語)로 다른 세력 가신 충성도를 낮춘다. |
선동 | 전쟁 시 1부대에 1회 선동을 사용하고, 평시에는 일揆 선동(일규 선동)으로 다른 세력 성의 민충(民忠)을 낮춘다. |
유출(流出) | 전쟁 시 임시 징병을 하고, 평시에는 주민 유출(住民流出)로 다른 세력 백성을 자신의 세력으로 끌어들인다. |
암살 | 전쟁, 평시 모두 무장 암살이 가능하다. |
일갈 | 전쟁 시 인접한 적과 아군을 1칸 뒤로 밀어낸다. 평시 훈련 시 효과를 높이고, 조략 시 상대와의 상성에 따라 보정을 받는다.[6][7] |
기철(騎鉄) | 숨겨진 기능으로, 다테 마사무네 등이 소유하며 기마 철포 부대를 편성할 수 있다.[8] |
- AI 학습: 배하 무장은 플레이어의 전략을 학습하여, 위임 시 더욱 적절한 행동을 한다. PC판에서는 한 계절에 한 번 각 무장과 회견하여 학습 상태를 확인하고 지도할 수 있다.
4.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
노부나가의 야망 천상기일본어는 일본의 역사를 배경으로 하지만, 한국 플레이어들에게도 흥미로운 게임이다. 이 게임은 다양한 전략과 전술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다른 가문과의 관계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전략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게임을 통해 일본 역사를 배우고 한국사와 비교하며 역사적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게임 내에서 벌어지는 권모술수와 암투는 현실 정치에서도 경계해야 할 부분임을 시사한다. 특히, 진보적 가치를 추구하는 플레이어라면 이러한 요소들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5. 버전
플랫폼 | 시나리오 |
---|---|
PC-98, Windows, 플레이스테이션, 세가 새턴 |
위 시나리오는 슈퍼 패미컴(SFC)판을 제외한 모든 기종에 공통으로 수록되어 있다. '혼노지의 변'은 통상판에서는 숨겨진 시나리오로, 다이묘 선택 화면에서 6번 취소하면 추가된다.
파워업키트(PK)판에서는 '혼노지의 변'을 처음부터 선택할 수 있으며, PC판에는 다음 시나리오가 추가되었다.
플랫폼 | 추가 시나리오 (PK) |
---|---|
PC |
세키가하라 전투를 테마로 한 시나리오는 시리즈 최초로, 도요토미 히데요리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2강 구도로 집약되어 있다.
PK는 PC판 외에 플레이스테이션(PS)과 세가 새턴(SS)으로도 발매되었다. 단, 추가된 무장은 PC판보다 적고, '세키가하라 전야' 시나리오는 없다. 콘솔판 PK에는 다케다 신겐이 상락에 성공하여 미카와, 오와리, 미노, 오미 등을 병합하고, 오다 노부나가는 이세 1국,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도토미 1국만을 가진 소 다이묘로 몰락한 가상 시나리오 '신겐 상락'이 추가되었다.
플랫폼 | 추가 시나리오 (PK, 콘솔판) |
---|---|
플레이스테이션, 세가 새턴 |
슈퍼 패미컴(SFC)판은 다른 기종보다 시나리오 수가 적다.
플랫폼 | 시나리오 |
---|---|
슈퍼 패미컴 |
'노부나가 탄생' 시나리오는 오다 노부히데를 비롯한 노부나가의 이전 세대 무장들이 등장하는 시나리오로, 전작 《패왕전》의 PK에는 있었지만 통상판에는 처음 수록되었다.
본작의 PK에서는 무장이 300명 추가되었고, 도쿠가와 이에미쓰, 하야시 라잔, 도쿠가와 미쓰쿠니 등 노부나가 사후 출생 인물도 등장한다. PK에 등장하는 나베시마 미쓰시게는 전 시리즈 중 가장 늦은 1632년생이다. 본작의 통상판에서는 무장이 전사하지 않지만, PK에서는 전사 설정을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혼노지의 변 발생 제한, 성 이름 및 가몬 변경도 가능하며, 역사 이벤트도 다수 추가되었다. Windows 구버전에는 몇 가지 이벤트가 더 추가되었다.[1]
6. 평가 및 영향
《노부나가의 야망 천상기》는 시리즈 중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 작품 중 하나이다. 전략, 전술, 내정, 외교 등 다양한 요소들이 잘 어우러져 깊이 있는 게임 플레이를 제공한다. 또한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을 충실하게 구현하여 역사 시뮬레이션 게임으로서의 가치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컴퓨터는 전반적으로 호전적인 성향을 보인다. (파워업키트판에서는 컴퓨터의 알고리즘을 조절하여 덜 호전적으로 만들 수도 있다.) 한 번의 전쟁에서 최대 9개의 성이 전장이 될 수 있으며, 넓은 범위에서 전투가 벌어진다. 자신의 성이 전쟁에 휘말릴 경우, "공격 측", "수비 측", "중립", "불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단, 동맹 관계에 따라 선택이 제한될 수 있다. 약소 다이묘는 중립을 유지하다가 전세가 유리한 쪽에 붙는 등 기회주의적 전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인해 세력 판도가 급변하기 쉽고, 코에이 게임에서는 드물게 유력 다이묘도 방심하면 멸망할 수 있다. 한 번의 전쟁으로 여러 다이묘가 멸망하기도 한다. '시스템이 단순하여 컴퓨터가 강하다'는 점은 코에이의 다른 작품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
혼간지 가는 일향종의 잇코잇키를 활용하고, 철포를 대량으로 소유하며, 일문의 배반이 없는 등의 이점으로 강력한 세력을 구축했다. 특히 '노부나가 포위망' 시나리오에서는 오다 가를 압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난부 가, 오토모 가, 호소카와 가, 오우치 가 등 특정 다이묘가 실제보다 강하게 묘사되는 경향이 있었다. 호조 가, 다케다 가 등은 소극적인 당주가 많아 약세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고, 시마즈 가는 위치상 이점을 가지는 등 게임 밸런스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6. 1. 후속작에 대한 영향
본작에서 도입된 군단제, 교육 시스템, 무장 특기 등은 이후 시리즈에도 계승되어 발전되었다. 이러한 요소들은 게임의 전략적 깊이를 더하고, 각 무장의 개성을 살리는 데 기여했다.특히 군단제는 전국 통일을 위한 중요한 시스템으로, 플레이어는 군단을 편성하여 넓은 영토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했다. 군단장 인선은 군단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였으며, 다케다 신겐처럼 야망이 높고 의리가 없는 무장은 모반을 일으킬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택해야 했다.
무장 특기는 각 무장의 능력치에 따라 다양한 특기를 부여하여, 전투와 내정에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게 했다. 예를 들어, 구키 요시타카는 수군 능력은 뛰어나지만 육전에는 약한 '육지에 오른 캇파'와 같은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적 변화는 게임의 재미를 높이고, 이후 시리즈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간행물
スーパーファミコンソフトオールカタログ 1996年
ジーウォーク
2019-09-28
[2]
서적
信長の野望 天翔記事典
[3]
문서
一斉攻撃に加わることは足軽隊以外でも可能
[4]
서적
信長の野望 天翔記事典
[5]
서적
信長の野望天翔記マスターブック
[6]
서적
信長の野望天翔記マスターブック
[7]
서적
信長の野望 天翔記事典
[8]
서적
信長の野望 天翔記事典
[9]
서적
信長の野望 天翔記事典
[10]
서적
信長の野望 天翔記事典
[11]
서적
信長の野望 天翔記事典
[12]
서적
信長の野望 天翔記事典
[13]
문서
本作では足利将軍家の他に古河公方足利家も大名として登場しているが、この場合は足利将軍家を指す。
[14]
서적
信長の野望 天翔記事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